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자디앙정 의약품 제2형 당뇨병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

by Places 2022. 2. 21.
반응형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T2DM)은 당뇨병(diabetes)의 임상학적 분류 중 하나이다. 제2형 당뇨병은 제1형에 비해 비교적 천천히 진행되며 주로 나이가 들수록, 비만도가 심할수록 발병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증상은 약하게 드러나는 편이므로 환자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포괄적으로 인슐린의 조절 활성도(regulatory activity)가 망가지게 되는 모든 경우를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한다. 인슐린 생산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인슐린 반응 체계가 망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인슐린 저항(insulin-resistant)이라 한다. 제2형 당뇨와 비만(obesity)의 상관 관계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당뇨병의 특징적인 증세는 심각한 갈증(thirst), 빈뇨(다뇨증, polyuria), 다뇨증에 의한 다음증(polydipsia)이다. 이런 증세들은 과량의 포도당(글루코스, glucose)을 소변으로 배출하게 되어 발생하며 이런 상황을 당뇨(glucosuria)라 한다. 당뇨병은 세포가 혈액으로부터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제2형 당뇨병 [type II diabetes] (생화학백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자디앙정 의약품 제2형 당뇨병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

 

 

자디앙정 상세 정보

 

성분정보

엠파글리플로진 10mg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효능효과

1. 제2형 당뇨병: 이 약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 투여한다.

- 단독요법

- 병용요법

혈당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중 심혈관계 질환이 확인된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건 발생에 대한 영향은 ‘사용상의 주의사항 10. 전문가를 위한 정보 2) 임상시험 정보’항을 참고한다.

2. 만성 심부전: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NYHA class II-IV)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성 감소

이 약은 다른 심부전 표준요법과 병용하여 투여한다.

 

 

용법용량

제2형 당뇨병

이 약의 권장용량은 단독요법 및 인슐린 등 다른 혈당 강하제와의 추가 병용요법에 대하여 1일 1회 10 mg이다. 이 약 10 mg에 내약성이 우수하면서 추가적인 혈당조절이 필요한 경우, 이 약 용량을 1일 1회 25 mg으로 증량할 수 있다.

만성 심부전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10mg 이다.

제2형 당뇨병 및 만성 심부전

이 약과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을 병용투여시에는 저혈당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의 용량감소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3. 이상반응 항 참고).

이 약은 식사와 관계없이 투여할 수 있다. 정제는 통째로 삼켜서 복용한다. 이 약의 복용을 잊었을 때에는 생각나는 즉시 복용한다. 하루에 두 배의 용량을 복용하지 않는다.

특수집단

• 신장애 환자

제2형 당뇨병

경증의 신장애 환자에 대한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사구체 여과율(eGFR)이 60 ml/min/1.73m2 미만인 환자[또는 CrCl < 60 ml/min]에게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해서는 안된다.

이 약에 내약성이 우수한 환자 중 사구체 여과율이 계속적으로 60ml/min/1.73m2 미만인 환자[또는 CrCl < 60 ml/min]는 이 약의 용량을 1일 1회 10 mg으로 조절하거나 유지하여야 한다. 사구체 여과율이 45 ml/min/1.73m2 미만[또는 CrCl < 45 ml/min]으로 감소하는 경우 이 약을 중단해야 한다.

말기 신질환(ESRD) 또는 투석 중인 환자에서는 이 약의 유효성이 기대되지 않으므로 이 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만성 심부전

사구체 여과율(eGFR)이 20 ml/min/1.73m2 미만인 환자에게 이 약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 간장애 환자

경증 또는 중등증의 간장애 환자에 대한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중증의 간장애 환자에 대하여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이 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 고령자

연령에 따른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75세 이상의 환자는 신장 기능과 체액량 감소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 8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의 임상 경험이 제한적이므로,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4. 일반적 주의 항 참고)

 

 

사용상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주성분 및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제 1형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케토산증 환자

3) 사구체 여과율 (eGFR)이 20 mL/ min/1.73m2미만인 환자, 말기 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 또는 투석 중인 환자

4)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 (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glucose-galactose malabso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장애 환자

신기능 모니터링

이 약의 유효성은 작용기전으로 인해 신기능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다음의 신기능 모니터링이 권장 된다:

- 이 약 투여를 시작 전 및 투여 이후 정기적으로 (1년에 1회 이상)

- 신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병용 의약품의 투여 전

① 제2형 당뇨병

사구체 여과율(eGFR)이 60 ml/min/1.73m2미만인 환자[또는 CrCl < 60 ml/min]에게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해서는 안 된다. 이 약에 내약성이 우수한 환자 중 사구체 여과율이 계속적으로 60 ml/min/1.73m2미만인 환자[또는 CrCl < 60 ml/min]는 이 약의 용량을 1일 1회 10 mg으로 조절하거나 유지하여야 한다. 사구체 여과율이 계속적으로 45 mL/min/1.73m2미만[또는 CrCl < 45 ml/min]일 경우에는 이 약을 중단해야 한다.

말기 신질환(ESRD) 또는 투석 중인 환자에서는 이 약의 유효성이 기대되지 않으므로 이 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만성 심부전

사구체 여과율(eGFR)이 20 ml/min/1.73m2 미만인 환자에게 이 약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인슐린 및 설포닐우레아와 같은 인슐린 분비 촉진제는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약과 병용시 저혈당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인슐린 또는 인슐린 분비 촉진제의 용량을 줄여야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디앙정10mg [Jardiance Tab. 10mg] (의약품 사전)

 

 

의약품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의약품사전 : 지식백과 (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