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검사에서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치인 3.5~5.5mmol/L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
설사, 대사성 산증(세뇨관성 산증), 이뇨제 사용, 대사성 알칼리증, 당뇨병성 케톤산증, 구토, 바터(Bartter) 증후군이나 기텔만(Gitelman) 증후군과 같은 유전성 질환, 저마그네슘혈증 등은 정상 혈압을 보이는 저칼륨혈증의 원인입니다. 또한 악성 고혈압, 신동맥 협착증, 고알도스테론증, 리들(Liddle) 증후군, 과도한 감초 섭취와 같은 경우에는 저칼륨혈증과 함께 고혈압이 동반됩니다.
증상
주 증상은 골격근의 근력 저하(주로 하지)이며, 심한 경우에는 경련, 근육 과민, 테타니(tetany, 근육의 불수의적인 수축)도 드물게 관찰됩니다. 또한 간혹 횡문근 융해증이 병발할 수 있으며, 다뇨와 야간뇨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가장 위험한 증상은 심전도가 변화되고 부정맥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저칼륨혈증 [hypokalem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알닥톤필름코팅정 25mg 의약품 고혈압 저칼륨혈증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
알닥톤필름코팅정 상세 정보
성분정보
스피로노락톤 25mg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보관
효능효과
고혈압(본태성, 신성등), 원발성알도스테론증, 저칼륨혈증, 심성부종(울혈성 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용법용량
성인: 스피로노락톤으로서 1일 50-100mg을 분할 경구투여한다. 이뇨제로 투여할 때는 다른 이뇨제와 병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할 경우에는 2-3일간에 걸쳐 감량하고 중단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1. 경고
1) 스피로노락톤은 랫드에 대한 만성독성시험에서 종양형성성을 나타내었다. 이 약은 효능·효과 항에 기술한 질환에만 사용하며 불필요한 사용은 삼가야 한다.
2) 이 약은 칼륨이 풍부한 칼륨보급성약물 및 식품, 칼륨보존성이뇨제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치명적인 고칼륨혈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또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제,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알도스테론 차단제,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고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약물, 칼륨함유 염 대용제와 병용투여하는 경우에는, 중증의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병용시에는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3) 이 약을 간기능 장애환자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체액 및 전해질평형실조로 간성 혼수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
4) 리튬은 일반적으로 이뇨제와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이뇨제는 리튬의 신청소율을 감소시켜 리튬독성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5) 중증 심부전환자에서의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은 치명적일 수 있다. 이 약을 투여받는 중증의 심부전 환자에 이 약을 투여시 혈청 칼륨을 모니터링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환자에서 칼륨-보존성 이뇨제를 투여하는 것을 피하고, 혈청 칼륨이 > 3.5 mEq/L인 환자에서 경구 칼륨 보조제를 투여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추천되는 칼륨 및 크레아티닌의 모니터링방법은 이 약 투여를 시작한 1주일 후 및 이 약의 투여용량을 증량한 1주일 후에 실시하는 것이며, 처음 3개월 동안은 한 달에 한번, 그 이후에는 3개월에 한번, 그리고 그 후에는 6개월마다 한번 실시한다. 혈청 칼륨이 > 5 mEq/L 혹은 혈청 크레아티닌이 > 4 mg/dL인 경우 치료를 중단하거나 이 약 투여를 일시적으로 중지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무뇨 환자
2) 급성 신부전, 중증의 신기능장애 환자
3) 중증의 간부전 환자
4) 고칼륨혈증 환자
5) 이 약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6) 애디슨병 환자 또는 고칼륨혈증과 연관된 다른 상태
7) 칼륨보급성 약물 또는 다른 칼륨보존성이뇨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8) 타크로리무스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중증의 관상동맥경화증 또는 뇌동맥경화증 환자 (급격한 이뇨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급속한 혈장량 감소, 혈액농축을 초래하고 혈전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2) 간, 신기능장애 환자 (신기능 장애 환자에서 일시적인 혈액 요소질소(BUN)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3) 염 제한요법 환자
4) 영아 (영아는 전해질평형실조가 나타나기 쉽다.)
[네이버 지식백과] 알닥톤필름코팅정25mg [Aldactone Film Coated Tab. 25mg] (의약품 사전)
의약품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의약품사전 : 지식백과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