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증이란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영국의 내과의사 W.컬린(1710∼90)은 오늘날 말하는 신경증의 개념과는 달리 신경계의 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광범위한 질환군을 지칭했으나, 병리학의 발달에 수반하여 기질적(器質的)인 변화를 나타내는 질환이 신경증에서 분리되어 나감에 따라 신경증군에는 비기질성으로 보이는 질환군만 남게 되어 오늘날의 신경증의 개념과 상통하는 것이 되었다. 오늘날 신경증은 그 개인에 있어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 주로 정동적(情動的)인 경험이 계기가 되어 그 반응으로서 나타나는 심리적 또는 신체적인 기능장애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독일의 K.야스퍼스(1883∼1969)가 제창한 심인반응(心因反應)의 개념에서는 병인이 되는 것으로서 충분히 양해가 가능한 감동을 수반하는 심적 체험(심인)을 계기로 하여 심정적 장애(心情的障碍)가 일어나 그 증세가 병인적 체험과 관련성을 갖는 것이 인정된다는 것, 또 그 심인과 관련이 깊은 상황의 변동에 따라 증세의 소장(消長)이 보이고, 원칙적으로 심인의 해소에 따라 증세의 완전한 소실이 인정되는 것이 조건으로 되고 있다는 것이 신경증의 전 영역을 거의 포함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심인이 되는 정동적 체험의 내용은 각 개인에 따라 다르며, 그 체험이 병인으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는 각 개인의 성격이나 마음가짐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경증 [neurosis, 神經症] (두산백과)
데파스정 0.5mg 의약품 신경증 신경쇠약증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상 주의사항
데파스정 상세 정보
성분정보
에티졸람 500μg
저장방법
차광기밀용기, 실온보관
효능효과
1. 신경증에서의 불안·긴장·우울·신경쇠약증
2. 우울증에 수반하는 불안·긴장
3. 정신신체장애(고혈압, 위·십이지장궤양)에서의 불안·긴장·우울
4. 다음 질환에서의 불안·긴장·우울 및 근긴장 : 경추증, 요통, 근수축성 두통
5. 다음 질환에 의한 수면장애 : 신경증, 우울증, 정신분열증, 정신신체장애(고혈압, 위·십이지장궤양)
용법용량
○ 성인
1. 신경증, 우울증 : 에티졸람으로서 1일 3㎎을 3회 분할 경구투여한다.
2. 정신신체장애, 경추증, 요통, 근수축성 두통 : 1일 1.5㎎을 3회 분할 투여한다.
3. 수면장애 : 1일 1회 1-3㎎을 취침전 투여한다.
고령자는 1일 1.5㎎까지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허가사항변경(안전성 정보처리), 의약품안전평가과-5706, 2016.10.24.]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급성 폐쇄각녹내장 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해 녹내장이 악화될 수 있다)
2)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근이완작용에 의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3) 이 약 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4) 중증의 호흡부전 환자
5) 중증의 간장애 환자
6)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7) 알코올 또는 약물 의존성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심장애 환자(혈압저하가 일어나 심장애가 악화될 수 있다)
2) 간·신장애 환자(배설이 지연될 수 있다)
3) 뇌의 기질적 장애 환자(작용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4) 중등도 호흡장애 또는 중증의 호흡장애(호흡부전) 환자(호흡기능이 고도로 저하된 환자에 투여한 경우, 탄산가스혼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5) 고령자(‘8. 고령자에 대한 투여’ 항 참조)
6) 쇠약자(작용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7) 우울증 환자
8) 유·소아(‘7. 소아에 대한 투여’ 항 참조)
9) 척추성 또는 소뇌성 운동실조 환자
10) 알코올, 수면제, 진통제, 정신병 치료제, 항우울약, 리튬에 의한 급성 중독 환자
[네이버 지식백과] 데파스정0.5mg [Depas Tab. 0.5mg] (의약품 사전)
의약품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의약품사전 : 지식백과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