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통은 가임기 여성의 약 50%에서 나타나는 흔한 부인과적 증상이다. 월경통은 골반 내 특별한 이상 징후 없이 월경 시에 주기적인 통증을 보이는 일차성 월경통과 골반 내의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이차성 월경통으로 나누어진다. 일차성 월경통은 대개 배란이 규칙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하는 초경 후 1~2년 이내에 처음 발생하고, 대부분 10~20대의 여성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40대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 이차성 월경통은 대개 초경 후 수년 이내에 발생하기 시작하고, 배란과 무관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일차성 월경통은 자궁내막 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생성 증가로 인한 증상이다. 프로스타글란딘은 배란 전 자궁내막(proliferative endometruim)보다 배란 후 자궁내막(secretary endometrium)에서 더 높은 농도로 발견되는 물질이다. 배란 직전 황체호르몬(progesterone)의 농도가 감소하면 사이클로옥시지네이즈(cyclooxygenase, COX)라는 효소가 활성화되면서 자궁 세포 내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이 생성되어 세포 밖으로 유리된다. 이 물질은 월경 시 자궁근육의 강한 수축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며, 이는 출산 시 발생하는 산통과 유사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월경통 [dysmenorrhe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게보린정 의약품 두통 치통 생리통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상 주의사항
게보린정 상세 정보
성분정보
아세트아미노펜 300mg,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mg, 카페인무수물 50mg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1~30℃)보관
효능효과
[허가사항변경(2013년 재평가 추가), 2015.06.09]
(정제)
다음 질환의 진통 및 해열시 단기치료:
- 두통, 치통, 발치(이를 뽑음)후 동통(통증), 인후(목구멍)통, 귀의 통증, 관절통, 신경통, 요(허리)통, 근육통, 견통(어깨통증), 타박통, 골절통, 염좌통(삔 통증), 월경통(생리통), 외상(상처)통의 진통
- 오한(춥고 떨리는 증상), 발열시의 해열
용법용량
[허가사항변경(2013년 재평가 추가), 2015.06.09]
(정제)
성인 1회 1정 1일 3회까지 공복(빈속)시를 피하여 복용한다.
복용간격은 4시간 이상으로 한다.
이 약은 원칙적으로 단기 복용한다.
15세 미만의 소아는 이 약을 복용하지 않는다.
사용상 주의사항
[허가사항변경(2013년 재평가 추가), 2015.06.09]
(정제)
1. 경고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간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2.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하지 말 것.
이 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되어 있다. 다른 아세트아미노펜 제품과 함께 복용하여 일일 최대용량(4,000mg)을 초과할 경우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과 함께 복용해서는 안 된다.
3. 다음 사람은 복용하지 말 것.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대한 과민반응(예, 발진,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가려움, 부종(부기)(후두, 눈꺼풀, 입술 등)) 및 그 병력이 있는 사람
2)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 다른 해열진통제(비스테로이드소염(항염)진통제(NSAID)), 감기약 복용시 천식발작 유발 또는 그 병력이 있는 사람.
3) 글루코스-6-인산 탈수소 효소 결핍증 환자
4) 급성 간헐성(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포르피린증 환자
5) 과립백혈구감소증(granulocytopenia) 환자
6) 중증(심한 증상) 간장애 또는 중증(심한 증상) 신장애(신장장애) 환자
7) 출혈 소인이 있거나 소화 기관에 궤양이 있는 환자
8) 15세 미만의 소아
9) 심한 혈액 이상 환자
10) 심한 심장기능저하 환자
11) 다음의 약물을 복용한 환자 : 바르비탈계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
12) 알코올을 복용한 사람
[네이버 지식백과] 게보린정 [Geworin Tab.] (의약품 사전)
의약품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의약품사전 : 지식백과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