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에서 생성된 오줌[尿]이 수뇨관을 거쳐 방광에 모여 요도를 통해 배설되는 일을 말한다. 상당량의 오줌이 방광에 괴면 척수의 요(腰) ·천수(薦髓) 내에 있는 배뇨반사중추에 전해지고, 다시 대뇌의 상위 중추에도 전달되므로 어느정도 배뇨를 조절할 수 있다. 보통 정상 배뇨횟수는 기온, 섭취음료에 따라 다르지만 성인은 10회 이내이며 남자는 1,000∼1,500 mℓ이고 여자는 800∼1,200 mℓ이다.
방광에 상당량의 오줌이 괴면 척수의 요(腰) ·천수(薦髓) 내에 있는 배뇨반사중추에 전해지고, 다시 대뇌의 상위 중추에도 전달되므로 요의(尿意)를 느껴도 어느 정도 의식적으로 배뇨를 조절할 수가 있다. 요도의 방광 근접부에 내요도괄약근과 외요도괄약근이 있어 요가 방광에서 누출되는 것을 막고 있는데, 수의적인 조절을 주관하는 것은 전적으로 외요도괄약근이다. 뇌나 척수 등 배뇨에 관여하는 신경계통에 장애가 일어나면 배뇨는 원활하지 못하다. 정상 배뇨횟수는 기온이나 섭취음료의 양에 따라 다르나 성인은 10회 이내이며, 1일 표준량은 남자는 1,000∼1,500 mℓ이고 여자는 800∼1,200 mℓ이며, 야간은 주간의 1/2∼1/4이고, 노인이 되면 취침 후 여러 번 배뇨 때문에 깨는 일이 많다.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방광에 괸 오줌이 요도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배뇨곤란이라 하는데, 이것은 요폐(尿閉)를 비롯하여 실금(失禁:대소변을 참지 못하고 쌈) 등 여러 가지가 포함된다. 가장 많은 것은 요도협착 ·전립선비대증인데, 방광 및 요도의 결석이나 종양, 중추신경질환 등이 원인이 되는 것도 있다. 배뇨시에 통증을 느끼는 것은 요도염 ·방광염이 대표적이며, 배뇨 초기에 아픈 것은 남자의 경우 전부요도염, 종말통(終末痛)은 후부요도염 ·급성방광염의 경우가 많고, 방광염증에는 동시에 빈뇨(頻尿)가 따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배뇨 [urination, 排尿] (두산백과)
하루날디정0.2mg 의약품 배뇨장애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상 주의사항
하루날디정 상세 정보
성분정보
탐스로신염산염 0.2mg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효능효과
[허가사항변경(2012년 재평가), 의약품관리총괄과-9301호, 2013.12.30]
양성 전립샘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용법용량
성인 : 탐스로신염산염 0.2 mg을 1일 1회 식후에 경구 투여한다.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이 약은 구강 내에서 붕해되지만, 구강 점막에서 흡수되지 않는다. 혀 위에 올려놓고 타액을 침습시켜 혀로 가볍게 부셔서 붕해 후, 타액만으로 복용한다. 또는 이 약은 물과 함께 한 번에 삼켜서 복용한다.
이 약은 씹어먹어서는 안된다.
사용상 주의사항
[허가사항변경(재심사), 의약품안전평가과-6560, 2020.11.04]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혈관부종 포함) 병력이 있는 환자
2) 기립저혈압 환자(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3) 중증 간장애 환자(혈장 중 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4)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중증 신장애 환자(혈장 중 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2) 고령자(고령자에 대한 투여 항 참고)
3) PDE5(phosphodiesterase-5) 억제제를 복용중인 환자(상호작용 항 참고)
4) CYP3A4 억제제를 투여중인 환자(상호작용 항 참고)
5) 혈압강하제를 투여중인 환자(상호작용 항 참고)
6) 알파1-차단제를 투여중인 환자는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특히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신중히 투여한다.(기립저혈압이 일어날 수 있다.)
7) 배뇨실신 병력이 있는 환자는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특히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신중히 투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하루날디정0.2mg [Harnal-D Cap. 0.2mg] (의약품 사전)
의약품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의약품사전 : 지식백과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