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나링에이정 의약품 구토 어지러움 저장방법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상 주의사항

by Places 2021. 12. 28.
반응형

구토(vomiting)는 장관과 흉벽 및 복벽 근육 수축으로 인해 상부 위장관 내용물이 강제로 입을 통해 배출되는 것, 즉 소화관의 내용물을 입으로 강하게 배출하는 것을 말하며, 반추증(되새김질) 또는 헛구역질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반추증이란 식도하부괄약근의 압력이 약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식사 후에 위가 수축운동을 할 때 음식물이 구강 내로 다시 올라와 되새김되는 것을 말한다. 헛구역질은 호흡근과 복근의 심하고 규칙적인 수축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이다.

 

오심과 구토의 원인을 기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어렵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오심 및 구토의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1) 급성 복부 응급 질환: 급성 충수염, 급성 담낭염, 장폐쇄, 급성 복막염

2) 소화관 질환: 소화성 궤양, 미주신경절제술 후, 당뇨성 위병증, 특발성 위운동장애(위무력증), 가성장폐쇄

3) 감염성 질환: 위장관의 바이러스성 감염, 세균성 감염 또는 기생충 감염

4) 중추신경계 질환: 급성 미로염,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멀미, 편두통, 급성 뇌수막염

5) 심장질환: 급성 심근경색 특히 후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전 층의 심근을 침범하는 경우, 울혈성 심부전, 심장질환에서 사용하는 강심제 또는 아편류 약물에 의해서도 유발됨

6) 암: 특히 말기 암환자

7) 대사성 및 내분비 질환: 요독증, 당뇨병성 케톤혈증, 부갑상선 기능저하 및 기능항진증, 갑상선중독증 또는 부신저하증, 임신 초기

8) 약제 및 화학약품에 의한 부작용: 강심제, 모르핀(morphine), 히스타민(histamine), 일부 항암제, 살리실레이트(salicylate),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독소 섭취

9) 정신 질환: 대식증

[네이버 지식백과] 구토 [vomiting]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보나링에이정 의약품 구토 어지러움 저장방법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상 주의사항

 

 

보나링에이정 상세 정보

 

성분정보

디멘히드리네이트 50mg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1~30℃) 보관

 

효능효과

(경구 : 정제, 시럽제)

1. 주효능·효과

1) 멀미·메니에르증후군·방사선숙취에 의한 구역·구토·어지러움

2) 수술후 구역·구토

(경구 : 껌정)

멀미에 의한 어지러움·구토·두통의 예방 및 완화

 

용법용량

(경구 : 정제, 시럽제)

성인 : 디멘히드리네이트로서 1회 50㎎ 1일 3-4회 경구투여 한다. 예방목적으로는 30분-1시간전에 50-100㎎을 투여한다. 윈칙적으로 1일 200㎎을 초과하지 않는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경구 : 껌정)

 

1. 성인 : 디멘히드리네이트로서 상기증상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자마자 20㎎을 씹는다.

2. 4세이상 - 12세이하 : 이 약으로서 상기증상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자마자 10㎎을 씹는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MAO저해제(억제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2) 디페닐메탄계 약물(디멘히드리네이트, 염산메클리진, 염산부클리진)에 과민증인 환자

3) 전립선(전립샘)비대 등 배뇨(소변을 눔)장애 환자

4)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5) 간질 환자

6) 이 약은 유당(젖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젖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2. 다음 환자에 신중히 투여할 것.

1) 소아 및 간질, 갑상선기능항진증 또는 급성 신염(신장염) 환자( 이 약 성분 중 테오필린계 약물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2) 마취시행전 환자(마취후 깨어나는 것이 지연될 수 있다.)

3. 부작용

1) 정신신경계 : 졸음, 두통, 두중감(머리무거움), 수족(발)마비, 손가락진전(떨림), 어지러움, 시력 불선명 등의 시각장애, 불면, 지각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증 : 발진, 광과민증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소화기계 : 때때로 가슴쓰림, 위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비뇨기계 : 배뇨(소변을 눔)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5) 기타 : 구갈,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졸음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운전 등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상호작용

1) 바르비탈계 약물, 마취제 등의 중추신경억제제와의 병용(함께 복용(사용)) 또는 음주에 의해 상호작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감량(줄임)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2) 제8뇌신경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등)에 의한 난청(귀먹음)을 은폐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3) 아트로핀 및 아트로핀계 약물과 병용(함께 복용(사용)) 투여시 요저류(소변이 고임), 변비, 구갈 등 아트로핀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유사화합물의 동물실험(랫트)에서 기형발생이 보고되었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웃돎, 웃돌다)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수유부에 대한 투여

수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으므로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웃돎, 웃돌다)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8. 고령자(노인)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노인)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감량(줄임)하는 등 주의한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투여시의 경련, 흥분, 환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항경련제를 근육 또는 정맥주사하거나 위세척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나링에이정 [Bonaling-A Tab.] (의약품 사전)

 

 

의약품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의약품사전 : 지식백과 (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