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12월 6일 개관하였다. 광주·전남지역의 문화유산 수집 및 보존관리로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문화유적 조사·연구, 유물전시, 사회교육 기능을 통한 지역문화 창달과 민족문화 선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지면적 8만 444㎡, 건물연면적 1만 3659.52㎡, 지하 4층 지상 2층의 철근콘크리트 건물 등 모두 7동의 건물이 있다.
기구는 관장 아래 관리과와 학예연구실로 이분화되어 있다. 소장 및 전시 유물은 호남지방의 선사시대 유물, 백제·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에 걸친 불교미술품과 각종 도자기 등이 있고, 신안 앞바다의 해저유물 등이다. 2008년 6월 현재 총 7만 2293점의 유물을 소장하였으며 그중 1,480점을 전시하고 있다. 1층에는 서화실, 기획전시실Ⅰ·Ⅱ, 불교미술실, 2층에는 선사실, 고대실, 고려도자실, 조선도자실, 신안해저유물실이 있고, 야외에는 고려청자가마터, 각 지석묘, 전 보안사지부도, 광주 장운동 석탑 등이 전시되어 있다. 2007년에는 교육관을 신축하고 어린이 박물관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문화재 보존과 과학적 관리, 문화재 발굴 및 조사·연구, 특별전시, 보고서 발간 등이며, 그 외 다양한 행사와 평생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광주박물관 [Gwangju National Museum, 國立光州博物館] (두산백과)
광주 가볼만한 곳 국립광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주차 관람료 대중교통 전화번호 팩스번호
국립광주박물관 상세 정보
주소
[61066]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430번지)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62-570-7000
팩스번호 별도 문의
오시는 길
고속버스터미널
문흥53, 양산60, 수완03(첨단95/용전85)
고속버스터미널 → 동운고가도로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체육중·고등학교 → 광주박물관
광주송정역
용전84, 첨단95, 송정29, 좌석02(문흥53/용전84)
광주송정역 → 광주공항 → 장암마을 극락강 다리 지나 좌회전 후 천변도로를 따라 직진 → 광주광역시청 지나 좌회전 빛고을로 동림IC (순천,대구 방향) → 서광주 IC 진입 후 → 첫 삼거리에서 우회전 광주체육중·고등학교 지나 한국도로공사 앞에서 우회전 → 광주박물관
광주역
진월07(송정29), 금남58(송정29), 좌석02(첨단95), 문흥18(첨단95), 금남57(송정29)
광주역 → 전대사거리 → 무등경기장 → 동운고가도로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체육중·고등학교 → 광주박물관
광주공항
용전84, 첨단95, 송정29, 좌석02(문흥53/용전84)
광주공항 → 장암마을 극락강 다리 지나 좌회전 후 천변도로를 따라 직진 → 광주광역시청 지나 좌회전 빛고을로 동림IC (순천,대구 방향) → 서광주 IC 진입 후 → 첫 삼거리에서 우회전 광주체육중·고등학교 지나 한국도로공사 앞에서 우회전 → 광주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첨단95, 용전84, 운림51(용전84/용전85), 금남58(용전84)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금남로5가 → 대인교차로 → 광주역 → 전대사거리 → 무등경기장 → 동운고가도로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체육중·고등학교 → 광주박물관
주차정보
주차 가능
관람안내
관람시간
10:00 ~ 18:00
야간개장
10:00 ~ 20:00
(3월~10월) 매주 토요일
어린이박물관
10:00~17:00
매달 셋째주 월요일 휴관
정기휴관일
매년 1월 1일
설날/추석 당일
관람요금
무료 (단, 유료 특별전시는 제외)
박물관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박물관 홈페이지 국립광주박물관 (museu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