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명소

국립국악박물관 주차 관람료 대중교통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by Places 2021. 6. 20.
반응형

서울 서초구 서초동 국립국악원에 있는 박물관.

 

연건축면적 3,348㎡의 3층 건물로, 1995년 2월 23일 개관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 전문박물관으로서 역사적·문화적으로 가치있는 각종 국악관련 자료와 유물 6,0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일곱 가지 주제로 꾸며진 여섯 개의 상설전시실에는 각종 국악기와 국악관련 음향․영상 자료 25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중앙홀인 궁중음악실은 궁중의 음악과 무용을 소개하며, 나라의 잔치를 그린 조선시대의 병풍과 병풍 속 그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악기를 전시한다. 또 궁중에서 연행된 정재를 모사한 인형과 공연영상을 통해 조선시대 궁중 문화를 만나볼 수 있다.

 

원류음악실에는 신호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쓰였던 도구에서 음의 높낮이를 갖는 악기에 이르기까지 고대악기의 변천을 볼 수 있다. 고대유적 출토 유물 속 악기와 고분벽화 속의 악기를 만날 수 있으며, 특히 ‘가야금 제작 공방’에서는 우륵(于勒)의 정신을 이어가는 악기장의 모습과 가야금의 제작 과정을 볼 수 있다. 서민음악실에서는 일하는 가운데 흥을 돋웠던 노동의 음악, 안녕과 행복을 빌었던 기원의 음악, 유흥의 음악 등 민간에서 생겨나 오늘에 이어지는 백성들의 음악이 전시된다. 선비음악실은 조선의 사상과 문화를 이끌었던 선비들의 음악관을 테마로 선비들의 음악 감상실이었던 풍류방을 재현해 관람객이 직접 옛 악보를 보고 악기를 연주하며 풍류를 체험할 수 있다.  세종음악실에서는 세종대왕이 창안한 정간보와 국내에서 제작이 가능해진 편경(編磬) 등 세종대왕의 음악적 업적에 대한 전시가 진행되며, 궁중음악인실에는 궁중의 각종 의례에서 음악과 춤을 관장했던 장악원(掌樂院)과 조선의 악인(樂人)들과 당시 사용하던 악기 등의 유물도 함께 전시된다. 근현대음악실은 장악원의 명맥을 잇는 국립국악원과, 근현대를 가로지르는 국악계 인물, 국악 명반(名盤) 등이 전시되어 있고, 입체영상실은 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우리 음악을 소재로 한 3D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국악박물관 [Museum of Gugak, 國立國樂博物館] (두산백과)

 

 

국립국악박물관 주차 관람료 대중교통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국립국악박물관 상세 정보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송월길 162(행촌동)  경찰박물관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2-580-3130

팩스번호 별도 문의

 

오시는 길

일반버스

G초록버스(지선)5413번 (국립국악원 / 래미안아트힐) B파랑버스(간선)142번, 406번 (국립국악원 /래미안아트힐) R빨강버스1500-2번, M5532번 (방배동래미안아트힐 / 국립국악원)

좌석버스1500-2 (용인-분당-사당)국립국악원 앞 하차 / M5532 (오산-사당)국립국악원 앞 하차

 

지하철

2호선방배역(1번출구 뒤돌아서 MR.Pizza 옆 정류장) 마을버스 서초07번, 서초15번, 서초17번 이용

7호선내방역(3번출구) 마을버스 서초07번, 서초15번 이용

3호선남부터미널역(5번출구) 마을버스 22번 이용

 

주차정보

운영시간08:00~23:00

주차요금무료 (단, 만차 시 인근 유료 주차장 등에 본인 부담 주차 / *국립국악원과 타 주차장은 별개로 운영되는 공간으로, 타 주차장 이용시 요금할인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운영방법 차량 5부제 적용 (※적용기간: 평일 월~금요일 18:00까지 / 18시 이후 및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은 5부제 적용 해제)

 

 

관람안내

 

운영시간 오전 10시 ~ 오후 6시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관람료 무료

 

 

박물관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박물관 홈페이지 국악박물관 | 시설안내 | 국립국악원 (gugak.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