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下北面) 영축산(靈鷲山)에 있는 사찰. 경상남도 기념물 제289호이다.
한국 3대 사찰의 하나로,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있어 불보(佛寶)사찰이라고도 한다. 사찰의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라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하므로 통도사라 이름했고(此山之形通於印度靈鷲山形), 또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 계단(戒壇)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했으며(爲僧者通而度之), 모든 진리를 회통(會通)하여 일체중생을 제도(濟道)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이 절의 창건 유래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신라의 자장(慈藏)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왕명에 따라 통도사를 창건하고 승려의 규범을 관장, 법식(法式)을 가르치는 등 불법을 널리 전한 데서 비롯된다. 이때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고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아, 승려가 되고자 원하는 많은 사람들을 득도케 하였다.
경내의 건물들은 대웅전과 고려 말 건물인 대광명전(大光明殿)을 비롯하여 영산전(靈山殿)·극락보전(極樂寶殿) 외에 12개의 법당과 보광전(普光殿)·감로당(甘露堂) 외에 6방(房), 그리고 비각(碑閣)·천왕문(天王門)·불이문(不二門)·일주문(一柱門)·범종각(梵鐘閣) 등 65동 580여 칸에 달하는 대규모이다. 이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1년(선조 34)과 41년(인조 19) 두 차례에 걸쳐 중수하였는데 대광명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근세의 건물들이다. 이 사찰은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고 있어 불상을 모시지 않고 있는 대웅전이 국보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밖에 보물 제334호인 은입사동제향로(銀入絲銅製香爐), 보물 제471호인 봉발탑(奉鉢塔)이 있고, 보물전시관에는 병풍·경책(經冊)·불구(佛具) 및 고려대장경(해인사 영인본) 등의 사보(寺寶)가 소장되어 있다. 소속 암자로는 선원(禪院)인 극락암을 비롯하여 백운암·비로암 등 13개의 암자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양산 통도사 [梁山 通度寺] (두산백과)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영축산 양산 통도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입장료 템플스테이
양산 통도사 상세 정보
주소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55-382-7182 055-381-1442
팩스번호 055-382-7196
기도접수처(화엄전) 055-381-1288 / FAX : 055-372-7010 / 원주실 055-382-7186
오시는길
KTX울산(통도사)역
버스이용
13번 시내버스 신평터미널까지 소요 시간은 30분
부산
동부시외버스터미널(노포동 지하철역)에서 신평(통도사)행 승차 → 신평터미널 하차
경주
시외버스터미널 : 부산행 통도사 인터체인지 승차 → 통도사 하차
울산
태화강역 1723번(신평터미널 방면)버스 이용 (첫차 6시25분 / 배차간격 35분~40분)
입장료
구분 | 연령 | 1인 | 단체(30인 이상) |
일반 | 성인 | 3,000원 | 2,500원 |
청소년 | 1,500원 | 1,200원 | |
어린이(7세 이상) | 1,000원 | 800원 |
주차정보
주차요금 17인승 미만 2,000원, 17인승 부터 3,500원
주차비 면제: '주차가능스티커 부착차량'에 한해서 무료, 주차불가스티커 및 기타 차량은 요금 부과함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영축총림 통도사 템플스테이 (tongdosa.or.kr)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영축총림 통도사 (tongdos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