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조계산(曹溪山) 동쪽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사찰. 사적.
542년(진흥왕 3)에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처음으로 개창하여 비로암(毘盧庵)이라고 하였다고 하나 이것을 그대로 믿기 어렵다. 875년(헌강왕 1)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여 선암사라고 하였다는 설이 더 신빙성이 있다. 박전지(朴全之)가 쓴 「영봉산용암사중창기(靈鳳山龍巖寺重創記)」에 지리산 성모천왕(聖母天王)이 “만일 세개의 암사(巖寺)를 창건하면 삼한이 합하여 한 나라가 되고 전쟁이 저절로 종식될 것이다.”라고 한 말을 따라 도선이 세 암자를 창건하였는데, 곧 선암(仙巖)·운암(雲巖)·용암(龍巖)이 그것이라고 했다. 절 서쪽에 높이가 10여 장(丈)되는 면이 평평한 큰 돌이 있는데 사람들은 옛 선인(仙人)이 바둑을 두던 곳이라고 하며, 이 때문에 선암이라는 절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호암은 『법화경』을 염송하는 것으로 수행을 삼았으며, 사찰의 중수에 부지런하였다. 1699년(숙종 25)을 전후한 시기에 원통각(圓通閣)·약선궁(若仙宮)·대법당·오십전 등을 새로이 건설하고, 관음상 1구, 소상(塑像) 61구, 화상(畵像) 등을 새로이 조성하였다. 1704년에는 호연(浩然)이 『선암사사적(仙巖寺事蹟)』을 썼다. 1819년(순조 19) 봄에 불이 나자 곧 상월(霜月)이 중건하였고, 1823년에 또 다시 불이 나자 그 이듬해에 해붕(海鵬)·눌암(訥庵)·월파(月波)가 대규모의 중수불사를 이룩하였다. 1911년 6월 3일 조선총독부에 의하여 「사찰령(寺刹令)」이 발표되고, 다시 같은 해 7월 8일 반포된 「사찰령시행규칙」에 따라 30본사가 정해질 때, 선암사 또한 30본사 중의 하나가 되어 승주군과 여수시·여천군의 말사를 통섭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천 선암사 [順天 仙巖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조계산 선암사 입장료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템플스테이
선암사 상세 정보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선암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61-754-5247~5953
팩스번호 061-754-5043
오시는 길
버스
순천역 시외버스정류장 1번 탑승 약 1시간 소요
입장료
구분 | 인원 | 요금 |
일반 | 개인 | 2,000 |
단체 | 1,700원 | |
군인, 학생 | 개인 | 1,500원 |
단체 | 1,200원 | |
어린이 | 개인 | 1,000원 |
단체 | 800원 | |
경로우대(65세 이상) | 개인 | 무료 |
단체 | 무료 | |
주차료 | 소형 | 2,000원 |
대형 | 3,000원 |
주차정보
주차료 소형 2,000원 대형 3,000원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세계문화유산 태고총림 선암사 (seonamsa.net)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세계문화유산 태고총림 선암사 (seonams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