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당나라에 유학을 하고 돌아온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종 사찰이며 부산시 금정산에 있다.
화엄종(華嚴宗) 10찰(刹)의 하나이며, 일제강점기에는 31교구 본산의 하나였다. 창건에 대하여는 두 가지 설이 있으나 그 중 《삼국유사》의 678년(문무왕 18)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신승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금빛나는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하여 금정산(金井山)으로 이름짓고 그곳에 사찰을 지어 범어사(梵魚寺)를 건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범어사창건사적(創建事蹟)》에 보면 당시 범어사의 가람(伽藍) 배치는 미륵전 ·대장전(大藏殿) ·비로전(毘盧殿) ·천주신전(天主神殿) ·유성전(流星殿) ·종루(鍾樓) ·강전(講殿) ·식당 ·목욕원 ·철당(鐵幢) 등이 별처럼 늘어서고 360 요사(寮舍)가 양쪽 계곡에 꽉 찼으며, 사원에 딸린 토지가 360결(結)이고 소속된 노비(奴婢)가 100여 호에 이르는 대명찰(大名刹)이라 하였는데, 이 많은 것이 창건 당시 한꺼번에 갖추어졌다고 믿기는 어려우며 상당 기간에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버려 10여 년을 폐허로 있다가 1602년(선조 35) 중건하였으나 또다시 화재를 당하였고, 1613년(광해군 5) 여러 고승들의 협력으로 중창하여 법당 ·요전(寮殿), 불상과 시왕상(十王像), 그리고 필요한 모든 집기(什器)를 갖추었다.
현재 보물 제434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3층석탑(보물 250호), 당간지주(幢竿支柱), 일주문(一柱門), 석등(石燈), 동 ·서 3층석탑 등의 지방문화재가 있으며 이 밖에 많은 전각(殿閣) ·요사 ·암자(庵子) ·누(樓) ·문 등이 있다. 옛날부터 많은 고승들이 이 곳을 거쳤으며, 중요한 인물만도 의상을 비롯하여 그의 고제(高弟) 표훈(表訓) ·낙안(樂安) ·영원(靈源) 등이 있다. 《선찰대본산 범어사안내(禪刹大本山梵魚寺案內)》에는 역대 주지(住持) ·승통(僧統) ·총섭(摠攝) ·섭리(攝理) 등으로 구분하여 수백 명이 기록되어 있다. 부산 금정구 청룡동(靑龍洞) 금정산(金井山)에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범어사 [梵魚寺] (두산백과)
부산광역시 금정산 범어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템플스테이
범어사 상세 정보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금정산 범어사 (청룡동 546)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종무소 051-508-3122 원주실 051-508-3636 템플스테이 051-508-5726 성보박물관 051-508-6139 불교대학 051-866-7277 선문화교육관 051-508-0102
팩스번호 051-508-3229
오시는 길
지하철
1호선 범어사역 5번, 7번 출구 도보 5분이내 비아이마트 앞 버스정류소에서 범어사행 90번 버스 이용 범어사 매표소 버스정류소에서 하차
1호선 노포역 하차 2번 출구 앞 버스정류소에서 범어사행 90번 버스 이용 범어사 매표소 버스정류소에서 하차
버스
90번 : 범어사 매표소 앞 버스정류소에서 하차
50, 58, 59, 61, 148번 : 범어사역 정류소 하차 범어사 입구 정류소(비아이마트)에서 90번 버스 환승 범어사 매표소 앞 하차
131, 29, 301, 49, 51, 80번 : 범어사 입구 정류소(청룡노포동 주민센터 앞) 하차 범어사 입구 정류소(비아이마트)로 도보 2분이동 범어사행 90번 버스 환승 범어사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선찰대본산 금정총림 범어사 (beome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