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달마산(達磨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조가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우리나라 육지의 최남단에 있는 절로서 749년(경덕왕 8) 의조(義照)가 창건하였다. 사적비에 따르면, 749년 8월 한 척의 석선(石船)이 사자포 앞바다에 나타났는데, 의조가 제자 100여 명과 함께 목욕재계하고 해변으로 나갔더니 배가 육지에 닿았다. 배에 오르니 금인(金人)이 노를 잡고 있고, 놓여 있는 금함(金函) 속에는 『화엄경』·『법화경』·비로자나불·문수보살·보현보살·40성중(聖衆)·53선지식(善知識)·16나한의 탱화 등이 있었다. 곧 하선시켜 임시로 봉안하였는데, 그날 밤 꿈에 금인이 나타나 자신은 인도의 국왕이라며, “금강산이 일만 불(一萬佛)을 모실 만하다 하여 배에 싣고 갔더니, 이미 많은 사찰들이 들어서서 봉안할 곳을 찾지 못하여 되돌아가던 길에 여기가 인연토(因緣土)인 줄 알고 멈추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서 보물 제947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웅전은 1598년에 중건한 뒤 1754년과 1761년에도 중수되었으며, 1982년의 수리 때 묵서(墨書)가 발견되어 건물의 연혁을 알 수 있었다. 내부에는 삼존불을 모셨고, 후불탱화(後佛幀畫)가 걸려 있으며, 법당 뒤편의 목궤에 넣어둔 괘불(掛佛)은 오래된 것으로 몹시 상하였다. 이 절의 부도군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는데, 한 곳은 26기(基)의 부도와 설봉당(雪峯堂)·송파(松坡)·금하(錦河)·낭암(朗巖)·벽하(碧霞) 등 대사비(大師碑) 5기가 있다. 다른 한 곳에도 5기의 부도가 있으나 전부 도굴되어 흩어져 있다. 또한, 미황사 사적비는 1692년(숙종 18) 민암(閔黯, 1634∼1692)이 세운 것으로서 초서로 된 높이 3m의 비인데, 옥개석 위에 용을 얹어 조각하였다. 이 밖에 절 뒷산 사자봉에는 ‘토말(土末)’이라 쓰인 비석이 있어 우리 나라 육지의 끝을 나타내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황사 [美黃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달마산 미황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차 템플스테이

미황사 상세 정보
주소
[] 전남 해남군 송지면 미황사길 164 미황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61-533-3521
팩스번호 0303-3130-3521
오시는 길
서울
버스
강남고속터미널 호남선 09:10출발 해남행 → 해남버스터미널 14:05 출발 미황사행
강남고속터미널 호남선 07:30출발 해남행 → 해남도착(점심) → 해남버스터미널 14:05 출발 미황사행
동서울버스터미널 07:10출발 해남행 → 해남도착(점심) → 해남버스터미널 14:05 출발 미황사행
강남고속터미널 호남선 광주행 → 광주종합터미널 해남행 직통 → 해남버스터미널 월송행 또는 산정행 직행 → 월송이나 산정에서 택시이용(9000원)
부산
버스
부산서부버스터미널에서 버스 이용 추천. 한번에 월송까지 올 수 있고 시간은 5시간30분 소요
대구
버스
광주터미널까지 버스로 이동 후 해남행 버스 탑승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템플스테이 | 참된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templestay.com)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땅끝마을 해남 미황사 (mihwangs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