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공기관

국민연금공단 양천지사 양천구 연락처 팩스번호 교통정보

by Places 2020. 10. 22.
반응형

사회보장제도는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여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가 마련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사회보장제도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험제도, 기초생활보장과 의료보장을 주목적으로 하는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그리고 노인·부녀자·아동·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1970년대 후반에 도입된 의료보험은 1970년대 후반, 국민연금제도는 1988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국민연금은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대표적인 사회보험제도입니다. 가입자, 사용자로부터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으로 소득이 중단되거나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급여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제도를 통해 제공되는 급여에는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노령연금, 주 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유족연금,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장애연금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국민연금공단 양천지사 양천구 연락처 팩스번호 교통정보

 

 

국민연금공단 양천지사 정보

 

지사관할 구역

양천구

 

담당업무 및 연락처

부명

전화번호

담당업무

FAX번호

가입지원부

02-6345-9010

사업장 및 사업장가입자

02-3485-2863

 

02-6345-9061

개인고객(가입, 상실, 납부예외, 내용변경 등)

02-3485-2860

연금지급부

02-6345-9050

국민연금 급여 신청 및 지급

02-3485-2858

행복노후준비지원센터

02-6345-9023

CSA 상담 및 제증명 발급/반납, 추납 신청 접수

02-3485-2859

장애인지원센터

02-6345-9043

장애정도심사/장애인활동지원/기초근로능력평가 업무

02-3485-2864

수급권확인팀

02-6345-9020

연금 수급권확인

02-3485-2857

 

 

교통정보

 

주소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81 (신정동 322-11) 해누리타운 9층

 

 

교통편

 

버스

[정류소명] 양천구민체육센타 (도보 1분) :

571(가산동↔은평뉴타운), 5630(광명공영차고지↔목동역), 6617(양천공영차고지↔목동역), 6620(양천공영차고지↔당산역), 6623(양천공영차고지↔여의도), 6624(신월동↔이대목동병원), 6640(양천공영차고지↔천왕역)

[정류소명] 양천문화회관 (도보 2분) :

571(가산동↔은평뉴타운), 5630(광명공영차고지↔목동역), 6617(양천공영차고지↔목동역), 6620(양천공영차고지↔당산역), 6623(양천공영차고지↔여의도), 6624(신월동↔이대목동병원), 6640(양천공영차고지↔천왕역)

 

지하철

지하철 2호선 양천구청역(1,2번출구)→ 횡단보도 건너 '13단지아파트' 사잇길 350M 직진 → 횡단보도 건너 양천구민체육센터옆 '해누리타운' 9층 (※도보 10분 소요)

 

승용차

목동 방면: 목동서로 이용 ①SBS방송센터 → (목동서로 직진) → 목동아파트 9단지 경유 →목동제일교회 전에서 좌회전 후 좌회전→세신교회 지난후 곧바로 지하 주차장 진입

신월동 방면: ①신정네거리역거리에서 신트리 공원 지나 좌회전 → 양천구청 방향 →양천성당→ 세신교회 지나자마자 지하 주차장 진입

 

주차장

건물 지하주차장 이용 (1시간 무료주차)

* 장애인 전용 주차 6대(지하1층)-> B1 주차장 진입후 우측에 위치(장애인 전용 안내판 부착)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지사 연락처 업무 전화번호 팩스번호 등 자세한 사항 또는 추가 내용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www.nps.or.kr  접속하여 홈페이지 하단 부분 [공단소개][지사찾기]를 클릭하여 지사를 선택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출처: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www.nps.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