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명소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 대흥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차 템플스테이

by Places 2021. 6. 14.
반응형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頭輪山)에 있는 신라시대의 사찰. 사적.

『대둔사지(大芚寺誌)』에 의하면, 이 절은 426년(구이신왕 7) 신라의 정관존자(淨觀尊者)가 창건하여 ‘만일암’이라 하였고, “508년 이름을 전하지 않은 선행비구(善行比丘)가 중건하였다”는 「만일암고기」의 기록과 “514년(법흥왕 1) 아도(阿道)가 창건했다”고 하는 「죽미기」의 기록이 있다. 또한“895년(헌강왕 11) 도선(道詵)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500사찰을 짓는 것이 좋겠다”고 상소하였는데, 대흥사도 그 중의 하나라는 설 등이 모두 망라되어 있다. 그러나 『대둔사지』의 자료를 모았던 혜장(惠藏)은 이들 기록이 창건자의 활동시기로 볼 때 모두 신빙성이 없다고 보았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이 절의 앞마당에 신암(信菴)·사은(思隱)·성유(性柔) 등 세 승려의 부도(浮屠)가 있었다”고 했는데, 이들의 행적이 알려진 바는 없으나 고려시대 승려이므로 대흥사가 고려 이전에 창건된 것은 확실하므로, 혜장이 주장한 신라 말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전에는 아직 대규모 사찰의 면모를 갖추지 못하였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4호인 대흥사 대광명전은 표충사 동쪽 300m 지점에 있으며, 조선 후기 초의가 건립하였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집으로, 이 지역을 동국선원(東國禪院)이라고 부른다. 내부에는 비로자나불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석가불의 삼신불을 봉안하였고 ‘井(정)’자의 천장에는 연화문과 운학(雲鶴)을 그렸다. 이 연화문과 운학 문양은 그 색채뿐 아니라, 문양 자체가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뛰어난 작품이다. 전하는 말로는 초의가 직접 단청을 하였다고 한다. 대광명전 옆에는 고승들의 영정을 봉안한 전면 8칸의 보련각(寶蓮閣)과 요사채가 있다. 이 밖에도 대흥사 역대 고승들의 부도와 비석을 봉안한 비전(碑殿)이 있다. 이 비전에는 보물 제1347호인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을 비롯하여 대흥사 13대종사와 13대강사 등의 부도와 비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남 대흥사 [海南 大興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 대흥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차 템플스테이

대흥사 상세 정보


주소
[]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

대표 연락처
종무소 : 061-534-5502~3 / 팩스 : 061-535-5357
원주실 : 061-534-5588
산사체험(템플스테이) : 061-535-5775

오시는 길
버스

서울발 →해남행
(5시간 소요)
동서울 서울발→해남행
(5시간30분 소요)
부산발 → 해남행
(5시간15분 소요)
광주발 → 해남행
(2시간 소요)
목포발 → 해남행
(1시간 소요)


열차
서울역 ⇒ 광주행 열차. 광주역 ⇒ 광주버스터미널(택시 기본요금) ⇒ 해남행 버스
서울역 ⇒ 목포행 열차. 나주역 ⇒ 영산포 터미널(택시 기본요금) ⇒ 해남행 버스(권장)
대구역 ⇒ 창원또는 삼랑진 ⇒ 나주역 ⇒ 영산포 터미널(택시 기본요금) ⇒ 해남행 버스
부산역 ⇒ 목포행열차. 나주역 ⇒ 영산포 터미널(택시 기본요금) ⇒ 해남행 버스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대흥사 템플스테이: 지금을 디디고 내일을 본다 (daeheungsa.or.kr)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대흥사 (daeheungs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