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모악산(母岳山)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670년(신라 문무왕 10) 일승(一乘)이 심정(心正)·대원(大原) 등과 함께 창건하였다. 일승 등은 고구려 보장왕(재위: 642∼668) 때 백제에 귀화한 보덕(普德)의 제자들이다. 이들은 모두 열반종의 교리를 익힌 뒤 보덕이 머물고 있는 고대산(孤大山) 경복사(景福寺)가 보이는 곳에 절을 짓고 대원사(大原寺)라 하였다. 한때는 대원사(大圓寺)로 표기하였으나, 현재는 대원사(大院寺)라고 한다. 1066년(고려 문종 20) 원명국사(圓明國師) 징엄(澄嚴: 1090∼1141)이 중창하였는데, 이 때를 창건한 때로 보기도 한다. 1374년(공민왕 23)에는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중창하였고, 1415년(태종 15)에도 중창하였다.
1597년(조선 선조 30) 정유재란으로 불에 타 없어진 것을 1606년(선조 39) 진묵(震默) 일옥(一玉)이 중창하였고, 1733년(영조 9) 동명(東明) 천조(千照)가, 1886년(고종 23)에는 건봉사(乾鳳寺) 승려 금곡(錦谷)이 중창하였다. 금곡은 함수산(咸水山) 거사와 함께 대웅전과 명부전을 중건하였으며, 칠성각을 짓고 산내 암자인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염불당을 옮겨왔다. 조선 말기 종교사상가로 유명했던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이 이 절에서 도를 깨우쳤다. 1950년 6.25전쟁으로 불에 탔으며, 1959년 덕운이 요사를 다시 세우며 불사를 일으켜 1960년 칠성각, 1962년 산신각을 세웠다. 1993년에는 칠성각을 헐어 요사채를 짓고 1990년 장마로 무너진 산신각을 삼성각으로 다시 세웠다.
명부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887년(고종 24) 금곡과 수산거사가 세웠다. 내부에 지장보살상과 도명존자·무독귀왕의 지장삼존상을 비롯하여 시왕·판관·녹사·사자·인왕·동자 등 지장보살 권속이 모셔져 있다. 유물로는 2기의 오층석탑과 6기의 부도 등이 있다. 오층석탑은 대웅전 앞과 뒤에 각 1기씩 서 있다. 뒤에 있는 석탑은 높이 238cm로 고려 시대 유물이고, 대웅전 앞에 있는 석탑은 높이 420cm로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원사 [大院寺] (두산백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모악산 대원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차 템플스테이
대원사 상세 정보
주소
[] 전북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997 대원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63-221-8502
팩스번호 별도 문의
오시는 길
별도 문의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별도 문의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