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母岳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제30대 무왕 당시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본사.
『금산사사적(金山寺事蹟)』에 의하면 600년(무왕 1)에 창건되었으며, 백제 법왕이 그의 즉위년(599)에 칙령으로 살생을 금하고, 그 이듬해에 금산사에서 38인의 승려를 득도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때는 그 규모나 사격(寺格:절의 품격)으로 볼 때 별로 큰 사찰이 아니었으며, 1492년(성종 23)에 쓴 「금산사오층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과거불(過去佛)인 가섭불(迦葉佛) 때의 옛터를 중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에 오랜 불연(佛緣)이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금산사가 대찰의 면모를 갖추게 된 시기는 진표(眞表)가 중창을 이룩한 경덕왕대 이후로 보고 있다. 중창주 진표는 12세에 금산사의 순제(順濟)에게 가서 중이 되었고, 그 뒤 금산사를 떠나 선계산 부사의암(不思議庵)에서 참회법(懺悔法)을 닦아 미륵보살과 지장보살로부터 계법(戒法:계율을 엄수하는 수행법)을 전해받은 뒤 금산사로 돌아와서 중창을 시작하였다.
이 절에 머물렀던 고승으로는 진표와 혜덕을 비롯하여 문종의 여섯째 아들로서 중이 된 승통(僧統) 도생(導生), 원나라 왕실로부터 깊은 존경을 받았던 유식학(唯識學)의 대가 해원(海圓)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 절을 중심으로 임진왜란 때 승병 1,000여 명을 이끌고 전투에 참가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운 처영(處英)과 서산의 선지(禪旨)를 이어받았던 태능(太能), 편양파(鞭羊派)의 후계자인 남악·태우(泰宇) 등이 머물렀다.
문화재로 지정된 중요 유물로는 보물 제22호인 김제 금산사 노주, 보물 제23호인 김제 금산사 석련대, 보물 제24호인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慧德王師塔碑), 보물 제25호인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보물 제26호인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보물 제27호인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보물 제28호인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보물 제828호인 김제 금산사 석등, 보물 제827호인 김제 금산사 대장전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산사 [金山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 금산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차 템플스테이
금산사 상세 정보
주소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금산리 39) 모악산 금산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63-548-4441~3
팩스번호 063-548-1390
오시는 길
전주에서 버스
금산사행 79번 버스 탑승
전주역 시내버스승강장에서 탑승(약 1시간 소요)
전주 고속버스터미널 밖 시내버스 승강장에서 탑승(45분소요)
김제에서 버스
금산사행 5번 버스 탑승
김제역 파출소 맞은편 승강장 탑승(40분 소요)
김제 버스터미널 맞은편 금석마트 앞 승강장 탑승(50분 소요)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별도 문의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모악산 금산사 (geumsans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