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명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명월산 흥국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주차 템플스테이

by Places 2021. 6. 8.
반응형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명월산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법화종에 속하는 사찰이다. 조선시대에는 명월사(明月寺)·삼원당(三願堂) 등으로 불렸으나 1942년 폐사로 남아 있던 명월사지에 김삼두(金三斗)의 시주로 우담(雨潭)이 사찰을 중건하여 흥국사(興國寺)라는 이름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1708년(숙종 34)에 증원(證元)이라는 승려가 지은 ‘김해명월사사적비(金海明月寺事蹟碑)’의 비문(碑文)에는 절의 명칭이 원래 흥국사(興國寺)로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 때 창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증원의 비문에 따르면, 48년(수로왕 7) 수로왕이 야유타국에서 건너온 허황옥(許黃玉)을 이 산에서 만나 높은 언덕 아래에 만전(幔殿)을 세워 왕후로 맞이했고, 다음날 왕후는 환궁하면서 입고 있던 비단바지를 벗어 산신령에게 예물로 바쳤다. 왕은 그 신령함에 감동하여 산 이름을 명월산(明月山)으로 하고, 뒤에 그곳에 흥국사(興國寺)·진국사(鎭國寺)·신국사(新國寺)라는 세 절을 지으니 나라의 융성을 비는 장소가 되었다. 신국사는 왕자를 위해 산 서쪽에, 진국사는 왕후를 위해 산 동쪽 골짜기에, 흥국사는 왕 자신을 위해 산 중앙에 지었다. 하지만 신국사와 진국사는 터만 남고 없어졌고 흥국사만 남아서 ‘삼원당(三願堂)’이라 불렸다고 한다. 이 절은 임진왜란 당시 전란으로 훼손되었으나 1618년(광해군 10) 한 노승이 다시 복구하였고, 그 뒤 연일(衍一)·원덕(元德)·장종(莊宗)·혜상(惠尙)·진응(眞應) 등에 의해 중수되었다.

 

증원은 왕후와 남매 사이로 알려진 장유화상(長遊和尙)이 서역에서 불법을 받들어 왔으니, 수로왕이 불교를 숭상했음을 증험할 수 있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절을 중수할 때 무너진 담 아래서 기왓장 하나가 발견되었는데 뒤쪽에 ‘건강(建康) 원년 갑신(144년) 3월 남색(建康元年甲申三月藍色)’ 등의 글자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증원의 비문은 김해(金海) 지역의 사찰들에 널리 전해지던 수로왕과 허왕후, 장유화상에 관한 전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다. 사찰의 유래에 관한 고려시대의 다양한 설화들을 기록하고 있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도 수로왕 때에는 불교가 아직 전래되지 않았고, 가야 지역에 사찰이 세워진 것은 제8대 질지왕(銍知王) 때인 452년에 왕후사(王后寺)를 세운 것이 최초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찰이 임진왜란 이전부터 전해져 내려왔다는 사실 이외에 정확한 창건 시기나 연혁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현재 대웅전과 칠성각·종각·요사채 등이 있는데, 1956년 칠성각을 세울 때 화강암으로 만든 석탑면석(石塔面石) 1개와 다른 석제품 조각 1점이 발견되었다. 폭 74cm, 높이 52cm, 두께 15cm의 이 석탑면석에는 중앙의 석불좌상 양쪽에 뱀 한 마리씩 양각되어 있어서 ‘명월사사왕석(明月寺蛇王石)’이라고 불린다. 불상과 뱀이 함께 조각되어 있는 독특한 양식을 하고 있어서 일부에서는 이것을 허왕후 설화와 연결시켜 남방불교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유물로 보기도 한다. 1983년 1월에는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1구가 출토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경내에는 이 밖에도 ‘김해명월사사적비’와 ‘가락국태왕영후유허비(駕洛國太王迎后遺墟碑)’가 있으며, 1986년에 세운 오층관음보탑과 석등 등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흥국사 [興國寺] (두산백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명월산 흥국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주차 템플스테이

 

 

흥국사 상세 정보

 

주소

[] 부산 강서구 지사동 468   흥국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51-972-5685

팩스번호 별도 문의

 

오시는 길

별도 문의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별도 문의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