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태고종에 속한다. 747년(경덕왕 6)에 진표가 창건하여 정토사라 하였고, 그뒤 고려시대까지는 어떻게 변천하였는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399년(정종 원년)에 무학(無學) 자초(自超)의 지시로 함허가 중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는 상왕인 정종이 요양차 이 절에 머물렀다. 세조 때 의숙옹주의 묘가 백련산 밑에 있어 이 절을 재궁으로 정하고 백련사로 이름을 고쳤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절이 불타버렸으나 곧 중건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으로 승도들이 다 흩어지고 건물이 퇴락하였으나 1662년(현종 3)에 다시 법당을 세웠다. 1701년(숙종 27)에 화재로 불타버렸으며 다음해에 다시 지었고, 1774년(영조 50)에는 낙창군 이탱의 시주로 중창하였다. 1891년(고종 28) 경운이 법당과 여러 전각을 다시 짓고 1911년 명부전을 중수하였으며, 1914년 서옹이 삼성전을 중건하고 1917년에 서옹이 사무실을 신축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무량수전, 약사전, 명부전, 관음전, 삼성전, 산신각, 독성각, 범종각, 요사채 등이다. 예로부터 동쪽의 청련사, 남쪽의 삼막사, 북쪽의 승가사와 함께 서백련으로서 도성의 4대 비보사찰에 속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백련사 [白蓮寺] (두산백과)
서울 홍은3동 백련산 백련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주차 템플스테이
백련사 상세 정보
주소
[]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316-1 한국불교 태고종 백련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2-302-0288
팩스번호 별도 문의
오시는 길
지하철
3호선 홍제역 3번 출구 하차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별도 문의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