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명소

봉원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주차 템플스테이

by Places 2021. 6. 1.
반응형

한국불교태고종의 본산이다. 889년(진성여왕 3)에 국사 도선(道詵)이 부유한 신도의 집을 희사받아 절을 창건하고 반야사(般若寺)라 하였다. 그 뒤 고려 공민왕 때에 보우(普愚)의 중건으로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1396년(태조 5)에는 이 절에 왕의 초상화를 모신 원당(願堂) 반야암을 지어 불교탄압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었다.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된 것을 지인(智仁)이 크게 중창하였고, 1651년(효종 2)에 다시 법당과 동서에 있던 요사가 소실되었지만 극령(克齡)·휴암(休巖)·도암(道庵) 등이 중건하였다. 또, 선조·인조·영조 때에는 반야암을 수호하라는 왕명이 있어 조정의 극진한 보호를 받았다. 특히, 1748년(영조 24)에는 왕이 절을 지을 부지를 하사하여 찬즙(贊汁)·증암(增巖) 등이 현재의 자리로 이건하였고, 이듬해 영조는 봉원사라는 현판을 내렸으므로 이때부터 절 이름을 봉원사라 하였다.

 

1788년(정조 12)에는 팔도승풍규정소(八道僧風糾正所)를 설치하여 승려의 승풍(僧風)을 지도, 단속하게 하였다. 1884년(고종 21)에는 갑신정변의 주동인물이었던 김옥균(金玉均)·서광범(徐光範)·박영효(朴泳孝) 등이 이동인(李東仁)의 지도 아래 개화파의 젊은이들을 깨우쳐 정변을 일으키게 하기도 하였다. 1894년에는 주지 성곡(性谷)이 약사전을 신축하였으며, 1911년에는 다시 이보담(李寶潭)이 크게 중수하였으나 6·25전쟁 때 가람의 일부가 소실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966년 최영월(崔映月)이 복원한 것이 많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극락전을 위시하여 범종각·명부전·납골당·산신각·칠성각·종무소·비각 등이 있다. 중요한 유물로는 도선의 반야암 편액, 이광사(李匡師)의 대웅전 편액, 정도전(鄭道傳)의 명부전 편액, 김정희(金正喜)의 청련시경(靑蓮詩境)·산호벽루(珊瑚碧樓), 이완용(李完用)의 지장대성위신력(地藏大聖威信力), 청나라 옹방강(翁方綱)의 무량수각 편액 등과 장승업(張承業)의 신선도 십폭병풍 등이 소장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봉원사 [奉元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원사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주차 템플스테이

 

 

 

봉원사 상세 정보

 

주소

[03721]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봉원동, 봉원사)  봉원사 

 

대표 연락처

전화번호 02-392-3007~8

팩스번호 02-393-9450

 

오시는 길

지하철

지하철2호선 신촌역 4번출구 7024번 원버스(구 봉원교통)로 15분(종점)

지하철3호선 독립문역 4번출구 7024번 원버스(구 봉원교통)로 5분

※ 봉원마을버스 배차시간 : 10분

버스

272, 470, 700, 751, 6714, 7012, 7017, 7020번

 

주차정보

별도 문의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정보는 아래 템플스테이 전용 정보 사이트 확인 하면 됩니다.

별도 문의

 

 

사찰 정보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출처 홈페이지 내용을 재 정리하여 만든 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정보는 아래 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출처: 사찰 홈페이지 천년고찰 전통사찰 봉원사 (bongwonsa.or.kr)

반응형